본문 바로가기

일상 주절주절

[일상/생활] 경동 나비엔 에러 발생 시 대처 방법 / 에러 상황 정리

728x90

지난 주말 약속 나가기 전 씻으려는데 이상하게 뜨거운 물이 안나왔다..

보일러는 돌아가는 것 같은데, 무슨 일인가 싶어 나와보니...
경동 나비엔 보일러 온도조절기에서 에러 표시가 뜨고 있어 너무 당황스러웠다.
 

경동나비엔 온도조절기 에러


1년 동안 이 집에 살면서 처음 있는 일이고, 여태 살면서 처음 있는 일이라 너무 당황스러워서 어쩌지 멘붕이였다

보일러 실로 들어가니 보일러는 돌아가고 타는 냄새가 나서 너무 무섭고...
우선 긴급조치로 온도조절기 전원을 끄려고하니 안되어 고무장갑을 끼고 보일러 실에서 보일러 코드를 뽑았다

혼자 이런 상황을 처음 겪고 무서워서 해결 방법을 열심히 찾아보았고,
후에 또 생길수도 있는 일이니 보기 쉽게 정리해서 바로 찾아서 볼 수 있게 글을 정리해본다

우선 우리집 제품은 경동 나비엔 보일러로 온도조절기는 모델명 NR-15S로 아래 사진과 같다.
실내 현재온도가 표시되며, 온수 작동 시에는 운전에 불이 들어오면서 온수온도가 표시된다.

경동나비엔 온도조절기 NR-15S


경동나비엔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니 에러가 발생하면 온도조절기 화면에 에러 번호가 뜬다고 한다.

우리집 경동 나비엔 보일러 에러는 16번으로 보일러에 과열이 감지된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라 한다.
(확인해보니 숫자 16 또는 E016 이라 표시된다.)

예상원인
1. 난방 분배기 밸브가 모두 잠겨있는 경우
2. 난방 배관 막힘 및 난방수(물) 오염
3.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조치방법 - 난방 분배기 밸브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
 
우리 집 난방 분배기는 모두 잠겨있지는 않고 하나가 잠겨있는데, 이게 문제인가 싶었다
이전 세입자 분이 잠가둔거라 그 상태로 오래 있어서인지 기름칠을 해도 돌아가지가 않았다... 이미 작년에 이 집에서 첫 겨울을 보냈을 때 시도해 봤는데 아무리 해도 안되어서 포기한 상태였다. 이번 기회에 다시 돌려보려고 했지만... 역시나.... 역시나 돌아가지 않아서 포기했다..
 
경동나비엔 매뉴얼대로 조치를 하려고 했지만, 안되어 임시로 조치한 방법이 바로 전원 끄기!
보일러에 열이 오른 것이기에 열을 떨어트리기 위해 전원을 끄는 방법을 선택했다
위에서 말했듯이 온도조절기의 전원은 꺼지지 않아 보일러실에서 보일러 코드를 제거하였다.
(혹시나 전기 감전 사고가 있을 수 있어 고무장갑을 착용하여 시행했다)
 
안될때 전원을 끄는 것은 역시나 옳다!
전원을 2~3시간 꺼두고 다시 연결을 하니 기존과 같이 잘 돌아간다~
이 방법은 임시방법일뿐이라 집주인에게 상황 설명하고, 다음번에 다시 한번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A/S에 전화하여 점검 받기로 집주인과 협의하였다.
 
혹시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우선 임시방편으로 열을 떨어트리기 위해 해당 방법을 실행하고 후에 A/S 점검 받는게 좋을 것 같다!
 
찾아보니 경동나비엔 가스보일러 에러의 종류가 많아 다른 에러도 설명과 조치 방법을 미리 정리해본다.
 

[경동나비엔 가스보일러 에러 종류 및 조치 방법]

에러번호 증상 예상 원인 조치 방법 비 고
03
(E3,E003)
점화(연소)가 되지 않아 발생되는 불착화 현상 1. 가스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
2. 점화(연소)관련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1. 가스공급 상태 확인
- 가스레인지를 켜서 확인, 가스계량기 확인
2. 보일러 본체와 연결된 가스 중간밸브가 열려있는지 확인
3. 보일러 본체에 연결된 전기코드를 뽑았다 재연결하여 보일러가 정상작동 되는지 확인
 
10
(E110)
연통에 급/배기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1. 연통 막힘 및 찌그러짐 등 폐쇄 조건
2. 역풍으로 인한 경우
3. 동절기 응축수(물) 호스가 동결된 경우(콘덴싱만 해당)
1. 보일러 연통이 찌그러져 있거나 막힘 상태가 있는지 확인
2.동절기에 응축수(물) 호스가 동결이 되었는지 확인-동결 시 호스 분리하여 50도 이내의 따뜻한 물에 담궈 녹인 후 다시 체결
3. 동절기가 아닌 경우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으므로 전기코드를 뽑았다 재연결하여 정상작동 확인
응축수 호스를 양손으로 위/아래 잡고 빨래 짜듯이 비틀었을때 우드득(얼음 부숴지는 소리) 소리가 나면 동결이 된 상태
 16
(E016)
보일러에 과열이 감지된 경우 1. 난방 분배기 밸브가 모두 잠겨있는 경우
2. 난방 배관이 막힘 및 난방수(물) 오염
3.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난방 분배기 밸브나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  분배기 밸브가 열려있으나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에는 엔지니어 점검 필요
 02
(E302)
보일러 내부에 물이 부족하여 발생하여 발생되는 저수위 현상 1. 동절기 직수(냉수) 배관 동결로 인한 물공급 안되는 경우
2. 단수가 된 경우
3. 보일러와 연결된 직수(냉수)배관에 밸브가 잠긴 경우
4. 수동 물보충 제품의 경우 물이 부족한 경우
5. 자동 물보충 제품의 경우 부품 이상인 경우
1. 싱크대 또는 욕실에서 찬물과 온수 모두 물이 나오는지 확인하여 모두 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단수가 되었는지 확인, 단수가 된 경우 단수가 풀리면 물보충이 자동으로 진행됨 (자동 물보충 제품에 한함)
2. 동절기가 아닌 경우 찬물은 나오나 온수쪽만 안나오는 경우라면 보일러 본체 하단에 4개의 배관 중 보일러 정면을 기준으로 오른쪽 첫번째 배관이 직수(냉수)배관이 열린 상태로 만듬 (직각이 된 경우 잠긴상태, 일자가 되어야 열린 상태)
3. 동절기인 경우 찬물은 나오나 온수가 안나올때에는 직수배관이 동결인지 확인하여 해빙을 진행해줘야함
4. 수동 물보충 제품인 경우 물 부족 확인 후 직접 물 보충 진행(물 보충 후에도 동일 증상 발생 시 엔지니어 점검 필요)
 
 49
(E049)
난방수(물)가 순환되지
않는 경우
1. 난방 분배기 밸브가 모두 잠긴 경우
2. 난방 배관 막힘 및 난방수(물) 오염이 생긴 경우
3. 동절기에 난방 배관이 동결된 경우
4. 부품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1. 난방 분배기 밸브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 후 열어주기
2. 동절기에 난방배관이 동결되었는지 확인 후 동결시 해빙작언 진행
 동결상태가 아닌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28
(E228)
보일러에 물이 부족한 상태에서 5분 이내 물보충이 안되거나 보일러 본체나 배관에서 누수로 인해 잦은 물 보충이 되는경우 발생 1. 동절기 직수배관 동결로 인해 물공급이 안되는 경우
2. 단수가 된 경우
3. 보일러와 연결된 직수배관에 밸브가 잠긴 경우
4. 보일러 본체 또는 난방배관에서 누수가 되는 경우
1. 싱크대 또는 욕실에서 찬물과 온수 모두 물이 나오는지 확인하여 모두 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단수가 되었는지 확인, 단수가 된 경우 단수가 풀리면 물보충이 자동으로 진행됨 (자동 물보충 제품에 한함)
2. 동절기가 아닌 경우 찬물은 나오나 온수쪽만 안나오는 경우라면 보일러 본체 하단에 4개의 배관 중 보일러 정면을 기준으로 오른쪽 첫번째 배관이 직수(냉수)배관이 열린 상태로 만듬 (직각이 된 경우 잠긴상태, 일자가 되어야 열린 상태)
3. 동절기인 경우 찬물은 나오나 온수가 안나올때에는 직수배관이 동결인지 확인하여 해빙을 진행해줘야함
4. 보일러 본체 또는 난방배관에서 누수(물이 새는지)가 되는지 확인한 뒤 난방배관에서 누수 발생 시 전문가 통해 조치받고, 본체에서 누수가 되는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9
(E109)
연소에 필요한 공기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송풍기 부품에 이상이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15
(E515)
콘트롤러에 이상이 감지되어 발생되는 현상 1. 보일러에 공급되는 전압이 불안정한 경우
2.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1. 보일러 본체에 연결된 전기코드를 뽑았다가 재연결하여 보일러기가 정상작동되는지 확인 후 해결되지 않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 엔지니어 점검 필요  
 14
(E014)
가스누설 감지기가 작동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1. 연통과 가까운 곳에 창문이 열려 실내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2. 연통 빠짐 또는 접속구 이탈
3. 보일러에 연결된 가스공급관 체결부 가스 누설
4. 부품 이상이 발생한 경우
1. 보일러 연통과 가까운 쪽 창문이 열렸는지 확인후 실내로 유입되지않도록 안전을 위해 창문을 닫고 보일러를 사용
2. 보일러 연결된 연통이 빠지거나 접속구가 이탈된 경우 보일러 사용 중지 후 보일러 설치업체를 통해 조치 받기
3. 위 2가지에 해당하지 않지만 가스냄새가 나는 경우 실내 온도조절기 전원을 끄고 가스공급 밸브를 잠가준 뒤 충분한 환기 후 지역 도시가스업체로  가스점검 요청 및 엔지니어 점검 진행
 
29
(E255)
삼방밸브(사용자 목적에 따라 난방 및 온수에 열원을 공급하는 부품)에 이상이 감지되어 나타나는 현상 1. 댁내에 난방 분배기 밸브가 모두 잠겨있는 경우
2.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난방 분배기 밸브가 정상적으로 열려있는지 확인 분배기 밸브가 열려있으나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에는 엔지니어 점검이 필요
12
(E012)
연소 중 실화(정상적인 연소가 되지 않는)로 인해 발생되는 현상 1. 보일러 연소에 필요한 가스량이 부족하거나 가스 압력이 낮은 경우
2.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1. 가스공급 상태를 확인
(가스레인지를 사용하여 불꽃이 정상적으로 크게 잘 켜지는지 확인)
2. 보일러 본체에 연결된 전원코드를 뽑았다 재연결하여 보일러가 정상작동 되는지 확인
 
51
(E351)
보일러에 물이 부족한 상태에서 5분 이내 물보충이 안되는 경우 발생되는 현상 1. 동절기 직수배관 동결로 인해 물공급이 안되는 경우
2. 단수가 된 경우
3. 보일러와 연결된 직수배관에 밸브가 잠긴 경우
4. 보일러 본체 또는 난방배관에서 누수가 되는 경우
1. 싱크대 또는 욕실에서 찬물과 온수 모두 물이 나오는지 확인하여 모두 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단수가 되었는지 확인, 단수가 된 경우 단수가 풀리면 물보충이 자동으로 진행됨
2. 동절기가 아닌 경우 찬물은 나오나 온수쪽만 안나오는 경우라면 보일러 본체 하단에 4개의 배관 중 보일러 정면을 기준으로 오른쪽 첫번째 배관이 직수(냉수)배관이 열린 상태로 만듬 (직각이 된 경우 잠긴상태, 일자가 되어야 열린 상태)
3. 동절기인 경우 찬물은 나오나 온수가 안나올때에는 직수배관이 동결인지 확인하여 해빙을 진행해줘야함
4. 보일러 본체 또는 난방배관에서 누수(물이 새는지)가 되는지 확인한 뒤 난방배관에서 누수 발생 시 전문가 통해 조치받고, 본체에서 누수가 되는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01
(E001)
보일러에 과열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1. 난방 분배기 밸브가 모두 잠겨있는 경우
2. 난방 배관 막힘 및 난방수(물) 오염
3.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난방 분배기 밸브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 분배기 밸브가 열려있으나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에는 엔지니어 점검이 필요
27
(E127)
공기 감시장치(풍압센서)에 이상이 감지되어 나타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07
(08, E407)
온수(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50
(E250)
보일러 내부 난방수가 0동 이하로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1. 동절기 난방배관이 동결(얼음)된 경우
2.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1. 동절기인 경우, 찬물은 나오나 온수쪽으로 물이 전혀 안나오는 경우 직수(냉수)배관이 동결된 경우인지 확인 후 동결된 경우에는 해빙을 진행
2. 난방배관 동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보일러 하부에 퇴수코크(보일러 내부 물 빼는 부품)을 열어 물이 나오는지 확인
동결 상태가 아닌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조치방법은 홈페이지에서 영상 확인 가능
92
(E092)
보일러 본체 콘트롤러와 실내온도 조절기 사이 통신 이상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26
(E026)
보일러 버너에 이상이 감지되어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04
(E004)
의사화염(화염감지에
이상 감지)이 감지되어 나타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05
(06, E205)
난방수(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11
(E311)
팽창탱크(물탱크)에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나타나는 현상 1.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에 이물 및 스케일이 흡착된 경우
2.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17
(E517)
보일러 내부 콘트롤러에 이상이 감지되어 나타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46
(E046)
보일러 내부 열교환기에 과열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30
(E030)
배기가스 온도가 높게 감지되어 나타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24
(E324)
난방배관 순환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1. 난방 분배기 밸브가 모두 잠겨있는 경우
2. 난방 배관 막힘 및 난방수(물) 오염
3.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난방 분배기 밸브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 분배기 밸브가 열려있으나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에는 엔지니어 점검이 필요
13
(E213)
난방에 필요한 물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난방흐름스위치)에 이상이 감지되어 나타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21
(22, E421)
직수(찬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94
(E094)
실내온도 조절기에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에 이상이 감지되어 나타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25
(E325)
난방배관 순환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1. 난방 분배기 밸브가 모두 잠겨있는 경우
2. 난방 배관 막힘 및 난방수(물) 오염
3.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난방 분배기 밸브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 분배기 밸브가 열려있으나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에는 엔지니어 점검이 필요
18
(19, E218)
난방수(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56
(E056,
E060)
연소에 필요한 가스공급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54
(E154)
응축수(물) 배출이 되지 않는 경우 발생되는 현상 1. 응축수 호스가 꺽이거나 막힌 경우
2. 동절기 응축수 호스가 얼어 있는 경우
3.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1. 응축수 호스가 꺽이거나 막힌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여 응축수 호스를 풀어주거나 막힌 부분을 뚫어주면 증상이 해결
2. 동절기인 경우, 응축수 호스 내부의 물이 동결되었는지 확인 필요
 
57
(E157)
공기 감시장치(풍압센서)와 송풍기를 연결하는 호스에 이상이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47
(E047)
배기가스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엔지니어 점검 필요  
31 가스 공급 압력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1. 댁내에 가스공급이 부족한 경우
2.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보일러 본체에 연결된 전원코드를 뽑았다 재연결하여 보일러가 정상작동 되는지 확인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에는 엔지니어 점검 필요
E594
(E615)
보일러 내부 콘트롤러(제어장치)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발생되는 현상 부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보일러 본체에 연결된 전원코드를 뽑았다 재연결하여 보일러가 정상작동 되는지 확인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동일 현상 발생시에는 엔지니어 점검 필요

 

하나하나 입력을 하면서 보니 정말 다양한 에러들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살펴보니 에러번호는 다르지만 증상이 비슷하고 조치 방법이 동일한 에러들도 있으니 확인하여 상황에 맞게 대처하면 될 것 같다.

 

이번에 집에 보일러 에러가 나타나니 가스 보일러고 하여 무서움이 너무 컸다.

도시가스에서 진행하는 가스점검은 매번 받지만.. 보일러가 노후되거나 에러가 갑자기 생기는 것은 미리 대비할 수 없으니 미리 에러번호를 기억했다가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여 안전하게 대비하는게 좋을 것 같다.

728x90